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5)
우아한 테크 캠프 4기 면접 후기(feat: 우테캠) 2021년 우아한 테크 캠프 (feat: 인턴) 과정이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아쉽지만 면접 탈락이라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일주일 정도 멘탈 회복의 시간을 가지고 후기 글을 남깁니다. 기존에 안내했던 일정에 비해서 3일 정도 지연이 되었고 전체 5일을 보는데 4일차에 보았고 약 30분으로 개별 면접이 진행이 된다고 안내를 받았습니다. 나름 면접을 준비할 시간이 꽤 길어서 철저히 준비했다고 생각했는데 결과를 보니 좀 안일했던 것 같습니다.. ㅎㅎ 일단 구글에 검색해서 이전 우테캠 후기를 찾아보았을 때 면접은 교육형 인턴이다 보니 하고자 하는 열정 위주의 면접이 진행된다는 말을 보았습니다. 그렇다 보니 인성과 자소서 위주로 면접 준비를 해나갔습니다. 지인 중 면접 왕인(총 5개회사 에서의 면접에서 탈락해본 적..
Mongodb 관리자 계정 추가 후 접근 불가 에러 mongodb를 첫 개발시 admin 계정을 따로 추가하여 보완성을 높이는데 계정을 추가한다. # 첫 접속 mongo # 관리자 db 접근 use admin # 관리자 계정 생성 db.createUser({user: 'name', pwd: 'password', roles: ['root']}) # mongodb 설정 변경사항 적용하기 위해 mongo db stop 시킴 brew services stop mongodb-community # 설정 추가하기 위해 text editer 실행 vim /usr/local/etc/mongod.conf # mongo db 재 시작 brew services start mongodb-community # 생성한 관리자 계정으로 접근 mongo admin -u name -p ..
브라우저의 작동원리 브라우저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브라우저의 주요기능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선택한 자원을 서버에 요청하고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이다. 자원은 보통 HTML문서지만 PDF나 이미지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자원의 주소는 URI(Uniform Resouce Identifier)에 의해 정해진다. 브라우저는 HTML과 CSS명세에 따라 HTML파일을 해석해서 표시하는데 이 명세는 웹 표준화 기구인 W3C에서 정한다. 과거에는 브라우저들이 일부만 이 명세에 따라 구현하고 독자적인 방법으로 확장함으로써 웹 제작자가 심각한 호환성 문제를 겪었지만 최근에는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표준 명세를 따른다.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로 닮아 있는데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일반적이다. URI를 입력할 수 있는 주..
SQL이 어려운 이유 2- JOIN 이번 편은 저번 편(GROUP BY) 편에 이어 두번째 편입니다. 개인적으로 근래 추세가 쿼리를 복잡하게 짜는 것도 아니고 최대한 단순하게 구성하는 것이기에 구글링 하면서 하면 문제 없이 풀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막상 모의고사에서 만나니 생각보다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고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중 하나가 JOIN이다. 해당 문제는 유출할 수가 없어서 사진을 올리지 못하지만 간단하게 애기 하면 테이블 3개를 합쳐야 되는 문제 였다. 어려웠다. 못 풀었다. SQL문제는 구글링을 통해 충분히 풀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 오만한 생각이 과감히 깨지는 순간이었다. 그렇기에 이 시리즈를 통해 공부하려고 한다. 일단 프로그래머스에서 제공하는 SQL 고득점 Kit를 풀었다. Join 과 Group by 에 ..
SQL을 어려운 이유 1 - GROUP BY SQL을 깊게 공부해 본 적은 없지만 SQL을 공부하다 처음으로 어려워 지는 부분은 내 개인적으로 group by 였다. SQL은 Structed Query Language로 한국말로 풀이하면 구조화 질의어?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사용을 하며 컴퓨터 공학과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교육을 할때 가장 많이 쓰인다. 그리고 sql은 3가지로 분류되는데 DDL(Data Define Language) : 테이블 등을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쿼리문을 날려 실질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한다. 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한..
우아한 테크캠프 4기 2차 코딩테스트 후기 우아한 테크 캠프 4기 2차 코딩테스트 합격 메일 발췌입니다. 6.23일 최종 발표가 나고 저는 결과적으로 불합격했습니다. 성장을 위해 회고하여 정리하고 다음 기수가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참고가 되기위해 적습니다. 혹시 자세한 설명으로 인한 유출 가능성이 있어 우아한 형제측에서 삭제 요청이 오면 바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2차 테스트는 구현 코딩테스트였습니다. 미리 예고를 하였고 요즘 프로그래머스에서 슬슬 보이던 과제 테스트 유형이라 어느정도 예상은 하였습니다. 프로그래머스 고양이 문제로 2일간 연습을 부랴부랴 하였습니다. 수요일 저녁 합격 발표가 나고 그 주 토요일 시험이어서 준비할 시간이 길지 않았습니다. 서비스를 만들어 본 경력이 조금은 있는 터라 솔직히 1차보다는 자신이 있었습니다. ..
Webpack에 대해 알아보자. 사실 아직은 개발을 하면서 Webpack이 무엇인지를 알지 제대로 사용해본 적이 없었습니다. 지금부터 Webpack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봅시다! Webpack을 알아보기 전에 Grunt와 Gulp를 알아보면서 공부를 하면 좋은데 webpack이 나오게 된 이유를 Grunt와 Gulp에 대한 이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Grunt와 Gulp는 사람의 실수나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기 위한 자동화 툴입니다. 보통 CSS와 JavaScript 파일을 concat, minify, compress, uglify를 하는데 많이 사용합니다. 즉 사전에 필요한 반복적인 작업들을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Nodo.js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plugin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Grunt ..
Node js 자주 사용하는 미들웨어 nodejs 교과서를 통한 서버 공부중이다. 미들웨어 공부 중 자주 사용되는 미들웨어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morgan 기존 로그 외에 추가적인 로그를 볼 수 있다. 요청과 응답에 대한 정보를 콘솔에 기록한다. morgan미들웨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app.use(morgan('dev')) 인수로 dev외에 combined, common, short, tiny 등을 넣을 수 있다.인수를 바꾸면 로그가 달라진다. 대체로 개발환경에서는 dev, 배포 환경에서는 combined를 사용한다. dev 모드 기준으로 GET / 500 7.409 ms - 50 은 각각 [HTTP메서드][주소][HTTP상태코드][응답속도] - [응답바이트] 요청과 응답을 한번에 볼 수 있어서 편하다. static static 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