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ATABASE

(2)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 (Database schema)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는 DB에서 1. 데이터 구조 2. 데이터의 표현 방법 3. 데이터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널리 쓰이는 3단계 구조에서는 DB를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나뉜다. 외부 스키마는 각 사용자의 관점에 대해 보는 것이고, 개념 스키마에서는 모든 사용자의 관점으로 보는 것이며, 내부 스키마는 물리적으로 DB에 접근하는 관점으로 보는 것이다. 이는 추상화와 비슷한데, 각 단계를 분리함으로써 논리적/물리적 독립성을 얻게 된다.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의 기술이다. 데이터 시스템 언어 회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관해서 이용자가 보았을 때의 논리 구조와 컴퓨터가 보았을 때의 물리 구조에 대해 기술하고 ..
Sequelize 간단히 알아보기 Sequelize 를 이번에 mysql을 공부하면서 처음 알게 되었다. 생각보다 너무 좋은 툴 이라서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일단 Sequelize는 DB랑 내가 개발한 Node 서버랑 연결해주는 다리라고 생각한다. 데이터랑 연결하기 위해서 쿼리를 날려야 하는데 이를 javascript를 통해 개발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해준다. 객체의 메서드를 이용하는 것처럼 쿼리 로직을 작성할 수 있다. Sequelize는 다양한 관계형 DB랑 연관하여 개발할 수 있고 Promise 기반으로 개발되여 비동기 개발에도 수월하게 사용된다. sequelize init 위 명령어를 통해 기본적인 틀을 만들수 있다. config.json에서 설정을 해준다음 db:create로 생성해준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table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