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ack-end

(2)
Sequelize 간단히 알아보기 Sequelize 를 이번에 mysql을 공부하면서 처음 알게 되었다. 생각보다 너무 좋은 툴 이라서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일단 Sequelize는 DB랑 내가 개발한 Node 서버랑 연결해주는 다리라고 생각한다. 데이터랑 연결하기 위해서 쿼리를 날려야 하는데 이를 javascript를 통해 개발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해준다. 객체의 메서드를 이용하는 것처럼 쿼리 로직을 작성할 수 있다. Sequelize는 다양한 관계형 DB랑 연관하여 개발할 수 있고 Promise 기반으로 개발되여 비동기 개발에도 수월하게 사용된다. sequelize init 위 명령어를 통해 기본적인 틀을 만들수 있다. config.json에서 설정을 해준다음 db:create로 생성해준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table을..
SQL을 어려운 이유 1 - GROUP BY SQL을 깊게 공부해 본 적은 없지만 SQL을 공부하다 처음으로 어려워 지는 부분은 내 개인적으로 group by 였다. SQL은 Structed Query Language로 한국말로 풀이하면 구조화 질의어?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사용을 하며 컴퓨터 공학과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교육을 할때 가장 많이 쓰인다. 그리고 sql은 3가지로 분류되는데 DDL(Data Define Language) : 테이블 등을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쿼리문을 날려 실질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한다. 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한..

반응형